본문 바로가기
정보

제로페이란? 다시 떠오르는 중, 왜 주목받고 있을까?

by 댠 2025. 3. 30.
반응형

제로페이란? 다시 떠오르는 중, 왜 주목받고 있을까?


 

 

코로나 시기 한 때 급부상했던 제로페이에 대해서 혹시 알고 계시나요? 최근 들어 이 제로페이에서 제공하고 있는 'QR코드 간편결제 시스템'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제로페이가 다시 떠오르는 이유와 장단점, 앞으로의 전망까지 정리해볼게요.

 


제로페이, 다시 한 번 짚어보기

제로페이는 2018년 말 정부 주도로 처음 도입된 소상공인 결제지원 플랫폼이에요. 제로페이의 핵심은 소비자가 QR코드를 찍고, 자신의 은행 앱이나 간편결제 앱을 통해 직접 송금하는 구조로 진행이 된답니다. 그렇다보니 카드사나 결제대행사(PG)를 거치지 않게 되면서 수수료가 거의 들지 않게 되죠.
실제로 연 매출 8억 원 이하 소상공인은 0% 수수료로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로페이는 왜 다시 주목받고 있을까?

한동안 정체기를 겪었던 제로페이가 최근 다시 인기를 끄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요.

 

1. 카드 수수료 인상에 대한 반발심
카드 수수료가 소폭 인상되면서 이에 대한 부담을 느낀 자영업자들이 수수료가 없는 제로페이로 다시 눈을 돌리고 있어요.

2. 지역사랑상품권과의 연계
각 지자체에서 발행하는 지역화폐(상품권) 대부분이 제로페이 앱과 연동돼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졌어요. 예를 들어 ‘서울사랑상품권’을 티머니페이, 비플제로페이 앱으로 충전해 쓸 수 있죠.

3. 현금없는 사회로의 전환
디지털 결제가 점점 익숙해지면서 QR 기반의 결제 방식도 대중적으로 더 받아들여지고 있는 흐름이에요. 그렇다보니 QR코드로 결제하는 제로페이 역시 그 사회에 발맞춰 나가고 있죠.



제로페이의 장점과 단점은?

1. 장점

  • 소상공인 수수료 0%
  • 실시간 정산으로 빠른 입금
  • 지자체 혜택과 연계돼 할인이나 이벤트가 많음


2. 단점

  • 소비자 입장에선 익숙하지 않은 앱(카카오페이, 삼성페이 등과 연동 안되는 경우 많음)
    오프라인 사용처가 제한적(프랜차이즈보단 개인 상점 위주)

 



앞으로의 전망은?

 

제로페이는 민간 간편결제 서비스와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어요. 정부와 지자체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안정적인 기반을 갖출 수 있어요. 하지만 대중화를 위해선 더 편리한 사용자 경험과 범용성 확대가 필요해요.

 

예를 들어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 같은 대형 플랫폼과의 협력, 또는 공공기관이나 대형마트 등에서도 쉽게 쓸 수 있도록 인프라 확대가 뒷받침돼야 하겠죠.

오늘날 다양한 간편결제 서비스가 있지만 제로페이처럼 ‘소상공인을 위한 결제 시스템’이라는 목적을 가진 서비스는 드뭅니다. 작은 가게에서 QR 하나로 결제하고, 그게 곧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도움이 된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도 괜찮은 선택이 아닐까요?

반응형